맨위로가기

야세르 아라파트 국제공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세르 아라파트 국제공항은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가 건설하고 이스라엘이 운영했던 공항이다. 1998년 11월 개항 당시 이집트발 항공편이 운항되었으며, 이후 요르단, 모로코, 키프로스, 일본행 항공편이 취항할 예정이었으나, 2000년 제2차 팔레스타인 민중봉기(인티파다) 발발로 인해 파괴되었다.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시설이 파괴되어 2001년 상업 항공 교통이 금지되었고, 현재는 폐쇄된 상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팔레스타인의 공항 - 예루살렘 국제공항
    예루살렘 국제공항은 1924년 칼란디아 비행장으로 개항하여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과 요르단 통치를 거쳤으나, 1967년 6일 전쟁 이후 이스라엘이 점령하여 "아타롯 공항"으로 명명되었지만 국제적인 인정을 받지 못하고 2000년 폐쇄되어 현재는 이스라엘 방위군이 소유하고 있다.
  • 없어진 공항 - 스테파나케르트 공항
    스테파나케르트 공항은 해발 610m 고도에 아스팔트 콘크리트 활주로를 갖춘 공항으로, 과거 예레반 간 정기 항공편이 운항되었으나 카라바흐 분쟁으로 중단되었고 재건 공사 이후 개항이 연기되었다.
  • 없어진 공항 - 알라미다 해군항공기지
    알라미다 해군항공기지는 1927년 공항으로 시작하여 해군 기지로 전환된 후, 여러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나 1997년 폐쇄되었고 현재는 재개발이 추진 중이며 환경 정화가 진행 중이다.
야세르 아라파트 국제공항
지도
기본 정보
2005년 공항 모습
IATA 코드GZA
ICAO 코드LVGZ
공항 유형폐쇄
위치가자 지구
개항일1998년 11월 24일
폐쇄2001년
해발 고도98m (320 ft)
운영
소유주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이스라엘 정부
운영 주체팔레스타인 민간 항공국 및 이스라엘 정부
활주로 정보
활주로 번호01/19
활주로 길이3,076m (10,091 ft)
활주로 표면아스팔트 콘크리트 (심각하게 손상됨)

2. 역사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립 이후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스페인, 독일, 일본 등 국제 사회의 자금 지원(8600만달러)을 받아 건설되었다.[4] 모로코의 하산 2세 국왕의 지원과 모로코 건축가의 설계로 1998년 11월 24일 개항했으며,[4] 개항식에는 야세르 아라파트와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이 참석하여 팔레스타인 국가 건설의 진전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여겨졌다.[4][5] 공항은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가 소유하고 민간 항공청과 이스라엘 정부가 공동으로 운영했으며,[2][3] 팔레스타인 항공허브 공항으로 사용되었다. 첫 상업 항공편은 1998년 12월 5일 암만행 노선이었다.[6]

그러나 2000년 9월 제2차 팔레스타인 민중봉기(알아크사 인티파다)가 발발하면서 공항 운영은 큰 차질을 빚게 되었고, 결국 다음 달 폐쇄되었다.[8] 이후 이스라엘은 공항의 재개항과 폐쇄를 반복하다 2001년 2월 13일 모든 상업 항공 교통을 금지시켰다.[9][10] 2001년 12월 4일 이스라엘군의 공습으로 레이더 기지와 관제탑이 파괴되었고, 2002년 1월 10일에는 불도저로 활주로마저 파괴되면서 공항은 완전히 기능을 상실했다.[13][11][12] 국제 민간 항공 기구(ICAO)는 이스라엘의 공항 파괴 행위를 민간 항공 안전에 대한 불법 행위 억제를 위한 협약 위반으로 강력히 규탄하며 시설 복구를 촉구했다.[13]

2005년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 철수 이후 이동 및 접근에 관한 협정을 통해 공항 재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으나,[14] 2006년 하마스팔레스타인 자치 정부를 구성하고 2007년 가자 지구를 장악하면서 이스라엘중동 쿼텟의 제재와 가자 지구 봉쇄가 강화되어 공항 재개 논의는 중단되었다. 폐쇄 이후 공항의 주요 시설과 장비는 도난당했으며,[15] 현재까지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

공항의 정식 명칭은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초대 대통령 야세르 아라파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가자 국제공항''' 또는 '''다하니야 국제공항'''이라고도 불렸다.

2. 1. 건설 배경 및 개항 (1995년 ~ 1998년)

1995년 오슬로 II 협정에 따라 공항 건설이 추진되었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설립 이후,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스페인, 독일, 일본 등 여러 국가로부터 총 8600만달러의 자금을 지원받아 건설되었다.[4] 모로코의 하산 2세 국왕 역시 자금 지원에 참여했으며, 설계는 모로코 건축가가 카사블랑카 국제공항을 모델로 하여 담당했다. 건설은 Usama Hassan Elkhoudary(El-Khoudary for engineering and contracting)가 맡아 1년 만에 완공되었다.

1998년 11월 24일, 공항은 공식적으로 개항했다. 개항식에는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수반 야세르 아라파트와 당시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이 참석했으며, 이는 팔레스타인 국가 건설을 향한 중요한 진전의 증거로 여겨졌다.[4][5]

공항은 연간 70만 명의 승객을 처리할 수 있는 규모였으며, 총 면적은 1100acre였다.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가 소유 및 운영 주체였고[2][3], 이스라엘은 보안 검색 등 운영 일부에 관여했다.[15] 공항은 팔레스타인 항공허브 공항으로 사용되었으며, 당시 팔레스타인 영토 내 유일한 공항이었다.

첫 상업 항공편은 1998년 12월 5일 팔레스타인 항공이 운항한 암만행 노선이었다.[6] 개항 이듬해인 1999년에는 약 9만 명의 승객과 100톤 이상의 화물을 처리했다. 2000년 중반까지 로얄 에어 모로크와 이집트에어 등 일부 외국 항공사도 가자 노선을 운항하기 시작했다.[7] 개항 초기에는 요르단, 모로코, 키프로스, 일본 등으로의 노선 확대를 계획하기도 했다.

NASA가 촬영한 야세르 아라파트 국제공항 위성 사진

2. 2. 운영 및 중단 (1998년 ~ 2000년)

1995년 오슬로 II 협정에 따라 공항 건설이 합의되었다.[4] 일본,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스페인, 독일 등 여러 국가로부터 총 8600만달러의 자금을 지원받아 건설되었다.[4][5] 공항 설계는 모로코의 하산 2세 국왕의 재정 지원을 받아 모로코 건축가들이 카사블랑카 공항을 모델로 하여 진행했다.[4] 건설은 Usama Hassan Elkhoudary(El-Khoudary for engineering and contracting)가 맡아 1년 만에 완공했다.[4]

1998년 11월 24일, 야세르 아라파트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수반과 당시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이 참석한 가운데 개항식이 열렸다.[4][5] 이는 팔레스타인 국가 건설을 향한 중요한 진전으로 평가받았다.[4] 첫 항공편은 이집트에서 도착했다.

공항은 팔레스타인 민간 항공청과 이스라엘 정부가 공동으로 운영했으며,[2][3] 연간 70만 명의 승객을 처리할 수 있는 규모였다. 총 면적은 1100acre에 달했다.[2] 이스라엘인의 출입은 여권 및 가방 검사로 제한되었다.[15] 공항은 팔레스타인 항공의 주요 허브 공항으로 사용되었다.[2][3]

첫 상업 항공편은 1998년 12월 5일 팔레스타인 항공암만행 노선이었다.[6] 이듬해인 1999년에는 9만 명의 승객을 수용하고 100ton 이상의 화물을 처리했다.[7] 2000년 중반에는 로얄 에어 모로크와 이집트에어 등 일부 외국 항공사도 가자 노선을 운항하기 시작했다.[7]

그러나 2000년 9월 제2차 팔레스타인 민중봉기(알아크사 인티파다)가 발발하면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간의 분쟁이 격화되었고, 공항 운영은 사실상 중단되었다. 이듬해인 2001년 이스라엘군의 공습으로 레이더 시설과 관제탑, 터미널 건물 등이 파괴되면서 공항은 완전히 폐쇄되었다.

2. 3. 이스라엘의 공습과 폐쇄 (2001년 ~ 현재)

2000년 9월 제2차 인티파다가 발발하면서 공항은 다음 달인 10월에 폐쇄되었다.[8] 이후 몇 달간 이스라엘은 공항의 재개항과 폐쇄를 반복하다가, 2001년 2월 13일 모든 상업 항공기의 운항을 금지했다. 이 조치 이후에는 야세르 아라파트의 개인 항공기만 이착륙이 허용되었다.[9][10]

2001년 12월 4일, 이스라엘군의 공습으로 공항의 레이더 기지와 관제탑이 파괴되었다. 2002년 1월 10일에는 이스라엘군 불도저가 활주로를 파헤쳐 사용할 수 없게 만들었다.[13][11][12] 이로 인해 야세르 아라파트 국제공항은 기능을 상실했으며, 2004년 구쉬 카티프 공항이 폐쇄될 때까지 가자 지구에서 유일하게 사용 가능한 활주로로 남게 되었다. 현재 이 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공항은 이스라엘의 벤 구리온 국제공항과 이집트의 엘 아리쉬 공항이다. 공항 시설이 파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01년부터 2006년까지 공항 직원들은 여전히 매표소와 수하물 구역에서 근무를 지속했지만, 실제 항공기 운항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12]

2002년 3월, 국제 민간 항공 기구(ICAO)는 이스라엘의 공항 공격을 강력히 규탄했다. ICAO는 이 공격이 민간 항공 안전에 대한 불법 행위 억제를 위한 협약(1971년 몬트리올 협약)을 위반한 것이라고 지적하며, 이스라엘에 공항 시설 복구를 통해 재개항을 허용할 것을 촉구했다.[13]

2005년 11월 15일, 2005년 샤름 엘 셰이크 정상회담과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 철수 이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PA)는 이동 및 접근에 관한 협정에 서명했다. 이 협정에는 ''"당사자들은 [야세르 아라파트 국제] 공항의 중요성에 동의했다. 안보 조치, 건설 및 운영 문제에 대한 논의가 계속될 것이다."''라는 내용이 포함되어 공항 재개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14] 그러나 이 협정은 이후 하마스가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를 구성하면서 사실상 효력을 잃게 된다.

2. 3. 1. 하마스 통치와 봉쇄 (2006년 ~ 현재)

2005년 협정은 하마스가 2006년 3월 29일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를 구성한 후 사실상 무효가 되었다. 이에 이스라엘중동 쿼텟하마스가 주도하는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에 대해 경제 제재를 가하고 모든 대화를 중단했다. 가자 지구 봉쇄는 2007년 6월 하마스가 가자 지구를 장악하면서 더욱 강화되었다. 2006년 3월 이후, 공항 문제를 포함하여 이스라엘과 가자 지구의 하마스 정부 사이에는 어떠한 논의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공항이 폐쇄된 이후, 도둑들이 침입하여 레이더를 포함한 가치 있는 장비들을 훔쳐갔다.[15]

3. 갤러리

(내용 없음)

3. 1. 공항 전경

3. 2. 파괴된 시설

2001년 이스라엘군의 공습으로 공항의 주요 시설이 파괴되었다. 이 공습으로 레이더 시설과 공항 터미널 건물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며, 결국 공항은 폐쇄되었다. 팔레스타인 유일의 국제공항이었던 이곳은 더 이상 운영되지 못하고 폐허로 남게 되었다.

3. 3. 위성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Codes of Gaza - Yaser Arafat International Airport in Gaza City, Palestine (PS) http://airportsbase.[...] 2021
[2] 웹사이트 Israelis anxious over Gaza airport https://www.flightgl[...] 1998-12-31
[3] 뉴스 Palestinians Gear Up for Opening of Gaza Airport Los Angeles Times 1998-11-19
[4] 뉴스 Palestinians cheer airport as first step to statehood Associated Press 1998-11-25
[5] 서적 A Political Chronology of the Middle East Europa Publications
[6] 뉴스 A Plane and Patriotism Take Flight in Gaza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8-12-07
[7] 뉴스 Palestinians plan cargo terminal at Gaza airport https://www.joc.com/[...] The Journal of Commerce 2000-05-08
[8] 웹사이트 Airport closure keeps Palestinian on the ground https://www.flightgl[...] 2000-12-04
[9] 뉴스 Gaza Airport Reopened After Three-Week Closure Xinhua News Agency 2000-12-01
[10] 뉴스 A Day in Gaza Tampa Bay Times 2001-11-25
[11] 뉴스 Grounded in Gaza, but hoping to fly again https://www.nbcnews.[...] NBC News 2005-05-19
[12] 뉴스 Years of delays at Gaza airport http://news.bbc.co.u[...] BBC News 2005-04-15
[13] 웹사이트 ICAO Council adopts resolution strongly condemning the destruction of Gaza International Airport http://legacy.icao.i[...] 2002-03-13
[14] 문서 Agreed documents by Israel and Palestinians on Movement and Access from and to Gaza http://www.eubam-raf[...] 2005-11-15
[15] 웹사이트 20 years after its opening, destroyed Gaza airport embodies grounded peace hopes https://www.timesofi[...] 2021-0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